차양자동출이이명 동위지현 현지우현 중묘지문
이 두 가지는 같은 곳에서 나와 이름을 달리 하니, 함께 일컫자면 검은 것이다.
검고 검으니, 수많은 묘한 것들이 나오는 문이다.
두 가지라고 하면, 도=무명=천지지시=무욕=관기묘와 명=유명=만물지모=무욕=관기요 일 것이다.
인간의 개념화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재의 진리인 도와 이를 인간이 개념화하여 이해한 명, 이 두가지이다.
노자는 이 두 가지가 같은 곳에서 나왔다고 한다.
그렇다면 도와 명과 별개로 이 두 가지의 근본이 되는 어떤 것이 있는가, 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하지만 나는 그 근본적인 것이 굳이 도와 구분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철수라고 부르는 사람의 실재와, 철수라고 하는 이름, 그것은 동일하게 철수라고 하는 실재에서 나온 것이다, 라고 이해해도 되지 않을까 한다.
물론 세밀하게 따져 보자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명이라는 것은 도에 전적으로 의존적인 것이 아니지 않은가?
예를 들어 유니콘이라고 하는 생물은 이름은 존재하지만 실재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의 개념 중에는 실재로 존재하지 않는 사물을 가리키는 명사도 있고, 실재하지 않는 관계로 개념들을 이어 붙인 문장들도 있다.
그런데 어떻게 도와 명이 같은 곳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는가.
그리고, 더 생각해 보자면 이런 의문도 생긴다.
유니콘이라고 하는 생물은 정말 실재로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유니콘을 주인공으로 하는 어떤그 소설이 쓰여져서 베스트셀로로 팔리고 그에 대한 영화도 만들어져 전세계 사람들이 알 정도가 된다면,
그렇게 세상에 영향을 미치는 어떤 존재를 실재가 아니라고 할 수 있는가?
유니콘이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사랑, 희망, 국가, 이렇게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 또는 인간이 지닌 개념의 맥락에서 떼어 놓고 보면 의미가 없는 것들도 실재한다고 할 수 있는가?
이런 생각들을 하다 보면 뭐가 뭔지 모르게 되고, 단순하게 생각했던 실재나 존재의 개념도 그렇게 쉽지 않게 느껴진다.
이와 비슷한 문제로 철학자들은 수백년 간 치열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나는 그런 논의에 관여할 능력도 없고 그럴 만한 의지나 관심도 없다.
다만 스스로 납득이 되도록 정리를 해 보자면,
개념 역시 실재의 한 부분이다.
인간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독립된 법칙에 의해 운행되는 세계가 있다.
인간이 존재함으로써 그 세계는 인간의 관점으로 해석되고 개념화된다.
하지만 그 개념들은 단순히 물리적 실재를 수동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개념들 간에, 그리고 물리적 실재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변화해 나간다.
인간은 세상을 개념의 틀 안에서 해석하고, 개념들을 발전시키며, 개념에서 비롯된 행동으로 세상을 변화시킨다.
그러니 실재에는 물리적 세계 뿐 아니라 사람들의 생각, 말, 감정, 무의식, 의지와 동기, 합의된 개념 등이 다 포함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도라는 말은 이런 실재를 모두 뜻하는 것일까?
내 생각에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해서 도가 물리적 법칙만을 뜻하는 것도 아니다.
내 생각에 도는, 사람이 이름을 붙이는 행위에 의해 영향을 받기 이전에 사물이 돌아가는 원리이다.
예를 들어 사랑의 감정은 사랑이라는 단어가 생기기 전부터 존재했을 것이다.
우리가 개념과 무관하게 느끼는 사랑의 감정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어떤 패턴의 감정을 사랑이라고 부르면서 실재와 인식 사이에 간격이 생기기 시작한다.
하지만, 인간은 그 본질 자체가 개념적인 인식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념화에 영향을 받기 전의 인식과 그렇지 않은 인식을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다.
아마 명확한 경계는 없을 것이다.
우리는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 순간, 이 감정이 과연 사랑일까, 하는 생각을 하기 시작한다.
우리의 욕구가 자연스러운 인간 본성에 의해 비롯된 것인지, 문화와 경험을 통해 학습된 것인지의 구분도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노자는 어느 정도의 구분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도덕경의 뒷부분에는 자연과 인위를 대조시키고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강조하는 부분들이 많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보도록 하자.
1장에서는 아직 자연과 인위의 구분이나 그에 대한 평가보다는, 도와 명의 정의에 중점이 주어져 있다.
논리적으로 노자의 위 문장을 해석해 보면 도와 명 이전에 그 두 가지가 모두 함께 비롯되는, 근원적인 무엇이 있다.
그것을 현(검은 색)이라고 부르고 있다.
앞에서 보았듯이, 명은 도의 영역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실재들(유니콘과 같은)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현이란 명과 도를 모두 포괄하는 전체의 실재를 가리키는 것인지도 모른다.
즉 현이란, 우리의 개념적 인식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재와 우리의 개념적 인식 과정에서 만들어지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가상적 실재들을 모두 포괄하는 전체적 실재이다.
이 현이라고 하는 것에선, 우리가 사과라고 부르는 단단한 물체도 나오고, 사과라는 이름도 나오고, 빨갛고 달고 시고 둥그런 감각적 인식과 개념적 인식들도 비롯된다.
우리의 제한된 인식으로는 이 현을 밝게 포착할 수 없고, 현은 그 안에 무한한 것이 숨겨져 있는 어둡고 깊은 어떤 것이다.
이런 해석은 철학적인 소양이 부족한 상태에서 우격다짐으로 진행한 것이기 때문에 얼마나 공감을 얻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나로서는 이 정도로 이해하고 도덕경을 더 읽어가 보려고 한다.
* 한 가지 더 이야기하자면, 1장에서 표현된 노자의 도식은 스피노자의 철학을 닮았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
현은 스피노자의 도식에선 신=세상이고, 도는 물질, 명은 정신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도와 명의 구분은 스피노자의 물질과 정신의 구분과는 좀 다른 것 같지만, 사고의 방식이나 함의가 상당히 비슷하다고 생각된다.
노자와 스피노자를 비교하는 일은 흥미로운 주제라고 생각되나, 일단은 다음으로 미루고자 한다.
아마 누군가 이미 그런 비교를 해 봤을 것이니, 기회가 되면 그런 내용들도 찾아볼 수 있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