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명확히 보지 못했지만 나는 오늘날 미국 여성들이 삶을 살아가려는 방식에 뭔가 아주 잘못된 점이 있다는 사실을 서서히 깨닫게 됐다. 나는 아내이자 세 명의 어린 자녀를 둔 어머니로서 반쯤은 죄책감에, 반쯤은 건성으로 살고 있었고, 나도 모르게 내 능력과 지식을 집 밖으로 벗어나는 일에 사용한다는 것을 알아차렸을 때 처음으로 내 인생의 물음표를 감지했다. 
이 문제는 오랜 세월 미국 여성의 마음 속에 암암리에 묻혀 있었다. 이는 낯선 동요이자 불만감이고 20세기 중반 미국 여성들이 겪은 갈망이었다. 평범한 가정주부들은 제각각 혼자서 이 문제를 괴로워했다. 침대를 정리하고 시장을 보면서... 주부들은 스스로에게조차 "과연 이게 전부일까?"라고 조용히 묻기가 두려웠다. 
           
- 베티 브리단, <<여성성의 신화>> 1963년. 
 
베티 브리단은 미국의 여성 언론인으로서, 1942년 명문대학 스미스 칼리지에 다녔던 동문 대부분이 어떤 종류의 임금 근로에도 종사하지 않고 조용히 자포자기한 인생을 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위와 같은 글을 썼다고 합니다. 
저도 어렸을 때 전업주부였던 어머니와 같은 동네 아주머니들의 갇힌 생활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 분들에겐 가정을 돌보고 아주머니들끼리 어울려 그렇고 그런 친목을 나누는 일 외에는 별다른 할 일이 없으셨죠. 
남성들이 가질 수 있었던 사회생활의 기회에 비해 여성들의 삶은 많은 제한 속에 갇혀 있었고, 페미니즘은 선거권 차등 부여 같은 노골적인 차별을 넘어서서 여성의 삶의 가능성에 대한 제한을 벗으려는 노력들로서 이어져 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글은 1963년에 쓰여졌는데, 현재는 어떨까요? 
여성들의 사회 진출은 늘어났고 예전보다 훨씬 많은 기회를 누리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직 충분히 평등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직업이나 조직에 따라, 가정과 개인에 따라 편차가 있어서 페미니즘의 역할에 대한 공통적인 관점을 형성하는 데 방해가 되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한편으로, 예전에 비한다면 생활 수준의 향상과 인터넷을 비롯한 여러 기술들의 발전으로 여가를 누리는 방식이 다양해지다 보니까 직장을 다니지 않는 것이 덜 답답해진 것 같고, 반면 직장 생활의 상대적 장점이 떨어진 측면도 있는 것 같습니다. 
뭔가 결론을 내리려고 하는 글은 아니고, 책을 읽다 보니 위 문구가 마음에 와 닿아서 소개를 드리고 싶었습니다. (제가 읽고 있는 책은 피터 퍼타도가 지은 '매일 매일의 역사'로 일자마다 그 날 있었던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원문들을 소개하는 책입니다. 위 글은 책이 출판된 2월 19일에 해당합니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우리의 삶이 더 많은 기회와 가능성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이루어 가는 것이 우리의 지향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2022.7.24일 최초 작성)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