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의 핵심 개념은 물론 도이다.
도는 길, 즉 따라가는 어떤 궤도를 뜻한다.
도는 천지의 시작부터 계속하여 세상의 끊임없는 변화를 주재하는 원리이다.
행성들은 정해진 궤도를 따라 공전하고, 대기는 순환하며, 생명체는 진화의 경로를 걷고, 인류의 역사도 진화해 나간다.
도는 세상 모든 사물에 작용하고, 그 대상에서 나 또한 예외일 수 없다.
우리는 스스로를 주체로 생각하는 데 익숙하다.
나는 세상으로부터 감각을 받아들이고 이성의 힘으로 판단하고 결정을 내리며 실행을 통해 세상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프레임에선 나와 세상은 어떤 경계로 나누어져 있고 나는 세상의 법칙에 제약을 받기는 하지만 그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생각하고 결정한다.
하지만, 도에 따라 세상 만물이 변천해 가고 그 과정 중에 놓여 있는 작은 매개체가 자신이라고 생각한다면 프레임이 달라진다.
도는 바람을 움직이듯 나의 몸을 움직이고 나의 정신을 움직인다.
나는 나의 정신의 주인인 듯 여기지만, 내 정신은 몸의 상태, 외계의 자극,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상념들, 내가 알지 못하게 갖고 있는 전제와 편견들에 의해 움직여진다.
아마도, 자신이 세상의 주인인 듯 외치는 자아의 소리를 낮추고 세상을, 그리고 나의 내면을 있는 그대로 느껴보는 것이 도에 다가가는 한 방법일 것이다.
자아는 내가 어떻게 행동하여 세상을 변화시키고 그 세상으로부터 무엇을 얻어낼 것인지가 가장 중요한 관심사이다.
하지만 넓은 시야로 보자면, 나는 유유하게 움직이는 넓은 세상에 잠시 몸을 담고 있는 존재일 뿐이다.
다만 이것은 하나의 관점일 뿐이고, 세상에서 내가 가장 중요한 존재인지, 아니면 작고 미미한 존재인지 하는 질문에 정답은 없다.
아무리 세상이 넓다 한들, 내가 인식하지 못하고 나와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없는 부분들은 내게 의미가 없다,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위안이 된다.
나를 중심으로 한 관점으로는 답이 나오지 않을 때, 나를 세상의 한 부분으로 객관화시켜 바라보는 것은 도움이 된다.
내가 세상으로부터 얼마나 많이 얻어내느냐에 절대적인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이 얻어내고자 하는 것 역시 우리 안에 내재된 본성이고 도의 한 부분이다.
하지만 나의 존재는 하나의 궁극적인 동기만으로 움직여지는 것이 아니다.
열두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와 나를 데리고 간다.
믿음과 충동, 이성과 감정, 배고픔과 외로움, 목적과 결심, 두려움과 희망, 사상과 환상이 우리를 움직인다.
하지만 이런 의문이 생긴다.
어느 바람을 따르든 도를 따르는 것이지, 도에 따르는 사람과 도에서 벗어난 사람 사이에 구분이 있는가?
되는대로 충동에 따라 사람과, 더 나은 세상에 대한 사명감을 갖고 투쟁하듯 사는 사람,
남들과 비슷하게 평범한 생활을 하며 가족을 중심에 두고 사는 사람,
더 많은 명예와 지위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고 사는 사람,
일상적인 생활의 여유는 최소한으로 누리면서 음악이나 글쓰기나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데 보람을 찾는 사람,
누가 도를 따르고 누가 도에서 벗어난 것인지 구분할 수 있을까?
나는 노자라면 어떻게 답변하였을지 모르겠다.
내 의견으로는, 도의 기준으로 어떤 삶을 더 낫다, 낫지 않다 평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사후적으로 보자면, 모든 사람은 각자에게 주어진 운명의 길을 걸은 것이고, 각자의 도에 따라 산 것이다.
그렇다면 도라고 하는 개념에 어떤 소용이 있을까? 도에 부합되게 살고자 노력한다는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나는 도라는 개념은 딱 한 단계 더 초월할 수 있게 해 주는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생각이든, 가치관이든, 충동이든, 감정이든,
자신을 하나의 방향으로, 외곬로 몰아갈 때,
도를 기억하는 것.
그리하여 자신이 사로잡혀 있는 그 무엇을 빠져나와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
자신이 집착하고 있던 것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큰 도의 작은 한 부분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
그것이 도라고 하는 개념의 효용이 아닐까 생각한다.
하나의 바람에 휩쓸려 가다가, 그 바람을 빠져 나와 자신의 안과 주변을 불어 가는 바람들을 더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고서,
바람의 힘들을 엮고 스스로의 작은 힘을 보태 가고자 하는 곳으로 가는 것.
이것이 내가 생각하는 도인의 경지이다.
------------------------------------------------------------------------------
(물론, 하나의 바람을 빠져나온다고 해도 그곳에도 바람은 불고 있을 것이고, 청정한 관조의 장소를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딱 한 단계 더 초월한다는 표현을 썼다.
전체를 조망할만큼 높은 곳에 올라가서 볼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며, 그런 존재가 있다면 신이라고 불러도 될 것이다.)
'노자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1장 응용하기 - 수양의 필요성 (0) | 2016.03.13 |
---|---|
노자 1장 응용하기 - 묘함을 보기 (0) | 2016.03.10 |
노자 1장 응용하기 - 품격 (0) | 2016.03.08 |
노자 1장 revisited (0) | 2016.03.07 |
노자 1장 - 4. 고상무욕 이관기묘 상유욕 이관기요 (0) | 201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