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가 1장에서는 실천적 지침을 따로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고 했지만, 1장에서 표현된 내용들만으로도 노자적인 태도, 사고방식, 습관 같은 것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도가도 비상도 라고 하는 말은, 어떤 것을 옳다고 말하더라도 그것은 제한이 있는 옳음이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사람들이 말하고 주장하는 모습들을 보면, 자신의 절대적인 옮음에 집착하는 듯한 태도가 하면 자신의 옳음에 스스로 제한을 두는 태도가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문재인 전대표가 더민주당의 야권통합제의를 거절한 국민의당에 대해 평가한 인터뷰의 한 대목이다.
"일단 평가부터 먼저 하자면 국민의당은 이미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국민의당이 새정치 한다고 생각하지 않잖아요. 공천받기 위한 정당이 됐죠. 애당초 성공할 수 없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방법으로 새정치를 어떻게 하나. 당원구조부터 시작해서 새로운 정당문화를 만들어야 가능한 건데 선거시기에 공천 걱정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정당을 만들었다. 처음부터 성공할 수 없는 방식이라고 냉정하게 말하고 싶다. 그게 현실속에서 확인되고 있는 거다. 저는 이해할 수 없는 선택이에요...."
메시지를 떠나서, 생각한다, 생각하지 않는다, 말하고 싶다, 저는 이해할 수 없는... 이런 표현들이 눈에 띈다.
물론 이런 표현들은 다른 정치인도 많이 사용하고, 위의 예에서 문재인 전대표가 자신의 판단을 의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아니다.
그렇지만 문재인 전대표의 경우 다른 정치인과 비교를 해 보자면, 내 말이 옳고 당신이 틀렸다, 보다, 나는 당신과 다르게 생각한다, 라는 인식이 더 강하게 나타나 보일 때가 많다. (문재인 전대표 인터뷰 전문)
다른 예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였던 페리클레스가 전투에서 쓰러진 시민들을 위해 한 추도사의 첫 부분을 보자.
"오늘까지 이 연단에 선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몰자들에게 조사를 바치는 것을 옳다고 보고, 이 연설의 관례를 법으로 정한 인물을 칭찬해왔습니다. 그러나 내게는 행동으로 나타난 그 명예는 행동으로 표창되면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그것은 바로 지금 공중의 손으로 준비된 이 매장행사를 여러분이 눈앞에서 보고 있는 것과 같이, 다수인의 덕행이 한 개인에게 맡겨져 그 사람의 뛰어나거나 혹은 서툰 연설에 의해 판단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중략) 그러나 옛 사람들이 이런 관습을 좋은 것으로 인정한 이상, 나도 그법에 따라 되도록이면 여러분의 생각과 희망을 표현하도록 애써야 할 것입니다."
이 연설에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주장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지만, 그 주장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는 견해 중의 하나인 것처럼 소개가 되고 있다.
사람에 따라서는 처칠의 연설과 같은 단호한 스타일을 더 선호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내 경우엔 항상 단언하는 듯한 표현을 들을 때마다 마음이 불편해진다.
유보적인 표현을 하는 것은 "그래, 내가 아닐 수도 있다고 했잖아", 라는 여지를 남기는 것이며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다.
사실, 일종의 비판을 두려워 하는 비겁함과 책임을 회피하려는 성향이 단언적인 표현을 하지 못하는 원인인 경우도 많고,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의 사기를 북돋고 생각이 분명하지 않은 사람들을 끌어당기기 위해 굳이 넣을 필요가 없는 유보적 표현들을 문장에서 생략하는 것이 더 나을 때도 많다.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는데 내 생각은 이래, 라는 식의 힘없는 주장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기에 부족하다.
하지만, 힘도 열정도 없이 단견을 가진 사람들보다 자신이 한 단계 위에 있다는 것을 보이는 데에만 관심이 있는 '지혜로운 사람'들과, 세상에 자기들만 옳고 생각이 다른 사람들은 다 천하의 악인이거나 어리석은 사람처럼 매도하는 목소리 큰 사람들 틈에서, 신념에 충만하지만 그 신념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함께 드러내 보이는 사람들의 낮지만 확고한 음성이 들릴 때가 있다.
나는 그것이 조화이며, 품격이라고 여긴다.
우리는 진리나 올바름을 소유하지 못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자신이 붙잡은 도의 단면을 표현하는 데 성실해야 한다.
'노자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1장 응용하기 - 묘함을 보기 (0) | 2016.03.10 |
---|---|
노자 1장 응용하기 - 탈자기중심과 넓은 시야 (0) | 2016.03.10 |
노자 1장 revisited (0) | 2016.03.07 |
노자 1장 - 4. 고상무욕 이관기묘 상유욕 이관기요 (1) | 2016.02.28 |
노자 1장 - 3.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0) | 2016.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