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교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그렇기 때문에 유와 무는 서로를 낳고, 어려움과 쉬움은 서로를 이루며, 길고 짧음은 서로 견주어지고, 
높음과 낮음은 서로 기울어지고, 가다듬은 소리와 자연스러운 소리는 서로 조화를 이루고, 앞과 뒤는 서로 따른다. 

이를테면 장단상교를 길고 짧음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이다 라는 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해석의 경우, 나로서는, 맞는 말이긴 한데, 그래서 어떻다는 것인지가 의문이다. 
네가 나보다 키가 크더라도 넌 마이클 조던에 비하면 키가 크다고 말할 수 없어.
그래서 뭐? 그래도 너보다 큰 건 맞잖아. 

유무상생이나 난이상성. 그릇 안의 공간을 무라고 한다면, 그 무는 그릇이라고 하는 유가 있기 때문이다. 
어떤 일이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쉬운 일에 대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세상 모든 일이 똑같은 정도로 어렵다고 한다면 어려움이나 쉬움이라는 개념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해석들에서도 마찬가지의 의문이 생긴다. 그래서 어떻다는 것인가? 

내 생각에, 노자는 어려움과 쉬움, 길고 짧음, 높음과 낮음이라는 개념들을 부정하지 않는다. 
노자가 부정하는 것은, 이 다른 것들 중의 한 쪽을 편들어 그것을 아름다움이나 선이라고 부르고 높이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앞의 내용과도 이어진다. 
사람들은 대부분 크고 강하고 높은 것을 아름답고 선한 것이라고 여긴다. 
그렇지만 크고 강하고 높은 것들은 작고 약하고 낮은 것들과 어울려서 세상을 이룬다. 
우리는 크고 강한 것이 승리하리라 믿기 때문에, 또는 크고 강해지면 행복해지리라 믿기 때문에 크고 강한 것을 아름답고 선하게 여긴다. 
하지만 작고 약한 것이 승리할 수도 있으며, 크고 강해지는 것이 행복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다. 

유무, 난이, 장단, 고하 등은 주로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한 것들이다. 
하지만 미와 선은 객관적으로 측정되고 절대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객관적으로 사물을 측정할 수 있는 것처럼 미와 선 같은 개념들도 확정지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객관적으로 확정지을 수 없다는 것이 우리가 의지에 따라 임의대로 규정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우리는 사물을 보는 관점을 바꾸어 봄으로써 사물에 대한 우리의 체험을 변경할 여지를 갖고 있지만 자유로운 재량권을 가진 것은 아니다. 
아름다운 것은 우리에게 아름답게 느껴지기 때문에 아름다운 것인데, 우리가 추하게 느껴지는 것이 실제로는 아름다운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납득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어떤 것이 아름답게 느껴지는지 아닌지는 사람마다도 다르고 한 사람에게라도 때와 상황, 우리가 품고 있는 여러 생각들, 기억들, 믿음들, 습관들에 의해 달라진다. 
특히 어떤 것이 아름답고 아름답지 않다고 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만들어내어 갖고 있는 개념들, 관점들에 영향받는 바가 크다. 

사람들은 보통 높은 것이 아름답다고 여기고 그것을 얻는 데 최선을 다한다. 
노자는, 아름다움이란 것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높은 것이 아름다울 수도 있지만 낮은 것이 아름다울 수도 있고 높음과 낮음이 함께 어울리는 것이 아름다움일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어떤 것은 아름답게 느껴지고 어떤 것은 추하게 느껴진다. 그런 것을 다 부정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어떤 것을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과 그것을 아름답다고 부르면서 그것에 집착하는 것은 다르다.  
무엇이 아름다운 것이라고 규정짓고 그것을 얻는 데에 집착하는 것 대신, 무엇을 아름답다 추하다 함부로 단정짓지 않고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어울리며 변화해 가는 모습을 보는 것. 
그것이 노자의 태도가 아닐까 한다. 

이렇게 보면 다음 구절과도 연결이 된다. 

시이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만물작언이불사 생이불유 위이불시 공성이불거 
부유불거 시이불거

그렇기 때문에 성스러운 사람은 일컬음 없이 일을 하는 방식을 취하니, 
행하되 말을 하지 않음으로 가르치고, 만물을 만들어내지만 이에 대해 말하지 않으며, 
살아가지만 어떤 존재로 머무르지 않고, 추구하고 실행하지만 그에 의존하지 않으며, 공을 이루지만 거기에 머무르지 않는다. 
일하는 자는 머무르지 않으니, 이로써 떠나가지 않는다. 

무위라는 말은 보통 얽매이지 않음 정도로 해석이 되는 것 같다. 
나는 여기에서 일컬음 없이 일을 하는 방식이라고 표현을 해 보았다. 
아름다움과 선함을 위해 일을 하되, 우리가 추구하는 대상을 아름다운 것이나 선한 것이라고 구태여 일컫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배가 고플 때 음식을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굳이 음식을 아름다움이나 선이라고 가치화할 필요는 없다. 
음식을 가치화한다면,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이나,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고 거기에 집착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런 비유는 좀 비현실적으로 보일지 몰라도 우리가 추구하는 방식이 이 비유에 많이 닮아 있는 것이 아닐까? 

지혜를 가진 성인이라면, 추구하는 일이 배고플 때 음식을 찾는 일처럼 자연스러울 것이다. 
상황에 따라 높은 것을 낮게 만들고 낮은 것을 높게 만들거나 더 낮게 만들면서도, 높은 것이 아름답지 않아 낮게 만들었다거나 낮은 것이 아름다와 더 낮게 만들었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다. 
배고픔이 음식을 찾는 길로 사람을 이끌 듯, 우리의 본성과 의지가 우리를 도로 이끈다. 
성인이란, 풍부한 지혜로 눈이 어두워지지 않고 당연히 가야 할 길을 아는 사람일 것이다. 
당연히 해야 할 일들을 하는 것이니 그에 대해 말을 하거나, 당신도 나처럼 해 보라고 가르치거나, 그렇게 이룬 일을 자랑하거나, 과거에 이룬 일에 머무르고 댓가를 기다리며 노력을 멈추지도 않을 것이다.
부모가 자식에 대한 사랑을 자랑하지 않고, 사랑하는 사람이 그 대상을 다른 존재와 비교하여 평가하지 않으며, 정직한 정치인이 이제까지 자신이 이룬 공로나 그에 따르는 명예보다 앞으로 해야 할 일에 집중하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성인이 아니지 않은가?
우리에게는 어떤 것을 추구해야 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있을 만한 지혜가 없다. 
하지만 그러한 성인의 모습을 지향할 수는 있을 것이다. 
어떤 아름답고 선한 대상을 추구하는 것 이전에,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낸 개념들에 눈이 어두워지지 않고 자신의 내면과 외부의 사물들을 공평하게 바라보면서 스스로 확신할 수 있는 길을 멈추지 않고 갈 수 있게 되기를 원할 수 있을 것이다. 
아름다운 것과 선한 것들로 이름지은 것 너머의 아름다움과 선함을 그 길 위에서 종종 만나기를 기대하면서 말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