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가치관은, 목적에 가치를 둔다. 그리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움이 되기 때문에 수단에도 가치가 부여된다. 

구체적인 목적과 수단은 다르지만 많은 철학이 이런 방식이고, 일상적 삶도 이런 방식의 가치관에 큰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궁극의 목적이고, 행복에 도움이 되는 여러 수단들을 탐구하는 것을 윤리학의 주제로 삼고 있다. 

기독교인에게 궁극의 목적은 구원과 천국이고, 공리주의자의 목적은 최대다수의 최대 효용이며, 마르크스주의자에게는 역사의 전진이다.  

철학에 별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내 삶의 의미가 무엇일까 때때로 생각하기도 하고, 일상 생활에서도 항상 무엇인가 목적을 갖고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열심이다. 

궁극의 목적, 이를테면 행복이나 최대의 효용과 같은 가치가 있고, 그것에 도움이 되는 어떤 중간목표가 있고, 그 중간목표에 도움이 되는 어떤 수단이 있다. 

그런 식으로 목적과 수단들이 궁극의 목적을 최상위에 두는 피라미드를 이룬다. 

철학자들은 이 피라미드를 이성적으로 흠잡을 수 없는 체계로 만드는 데 힘쓰고, 일반 사람들은 좀 불명료한 대로 직관과 논리와 여러 가지를 동원해 얼기설기 보수를 해 가는 어설픈 개똥철학에 의존하여 삶을 이끌어나간다.

완성도가 어떻든 우리는 계층화된 가치 체계에 의존하여 삶을 꾸려나가고, 우리의 머리 속에는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는, 최대한의 가치를 생산해 내야 한다는 생각이 좀처럼 떠나지 않는다. 

그리고 그러한 가치 기준에 따라 우리는 우리 자신을 포함하여 세상 만물에 평가를 내린다. 


이런 목적 중심의 가치관은 인간이 가진 지적 본성에 어울린다. 

인간의 지능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진화해 온 것이다. 

목적을 정의하고, 그에 맞는 수단을 찾고, 목적을 기준으로 대상을 평가하는 것이 지능의 주요한 역할이다. 

무의식적인 행동을 벗어나 뭔가 의도적인 행동을 하려고 할 때마다 우리의 정신은 행동의 목적이 무엇인지 묻는다. 

모든 것의 의미와 가치는 목적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더군다나 이런 목적지향적 성향은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더 강해진다. 

여러 사람이 힘을 합치는 협업의 규모와 비중이 커질수록 사람들은 우리가 하는 일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그런 목적이 있어야 각자의 역할이 정해지고, 기여도가 평가되고,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통과 관습이 힘을 잃고 변화가 당연시되고 수많은 대안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 일이 늘어남에 따라 합리적 사고는 더 지배적이 된다.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란 없다. 

우리는 무한한 선택의 자유를 누린다. 

지금 영위하고 있는 일과 삶의 방식은 항상 더 나아질 수 있는 여지가 없는지 질문의 대상이 된다. 

선택을 하거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목적을 정의하고 대안들을 평가해야 한다. 


이런 것은 피할 수도 없고 나쁜 것만도 아니다. 

우리는 합리적으로 목적을 정의하고 수단을 찾고 대안을 평가하며 성취를 이루어야 한다. 

이런 일들을 그만 두면 특별하게 이루는 일 없이 되는 대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혹자는 노자의 무위를 이렇게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무위가 꼭 그런 의미여야 할 필요는 없다. )

하지만, 우리가 합리를 추구하는 일을 피할 수 없더라도, 합리만으로 가득한 삶은 균형을 잃은 것일 수 있다. 

우리는 항상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고, 기껏 얻어낸 것에서도 순수한 만족을 얻지 못한다. 

언제나 더 나은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의 삶은 항상 불충분하고 불만족스러운 것이 되고 만다. 

대상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만 신경을 쓰느라 대상의 많은 부분을 보지 못하고 지나치기도 하고 불완전한 평가에 왜곡된 모습으로 보기도 한다.


그렇다면 노자는 어떤 대안을 이야기하는가?

노자는 우리 삶의 가치가 특정의 목적을 달성하는지 여부에 달린 것이 아니라, 도를 따르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우리가 최선을 다해 찾아 낸 어떤 길을 따라 걸어갈 수가 있다면, 그 결과와 관계 없이 충분한 것이고, 그 자체가 가치인 것이다. 


우리가, 우리에게 주어진 숙명에 따라, 가야 할 길로 가고 있다는 느낌. 

만약, 그런 확신을 가질 수만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움과 자존감을 얻을 수 있지 않겠는가. 


하지만 내가 가야 하는 길이 무엇인지, 내게 주어진 숙명, 도가 무엇인지를 어떻게 알고 확신할 수가 있는가? 

우리가 내린 결정들이 옳았는지, 더 나은 최선이 없는지를 어떻게 확신할 수 있다는 말인가? 


여기서 우리는 자꾸 목적 중심의 사고로 되돌아간다.

우리는 다시금 도의 효용, 다른 목적이나 기준에 비추어서 도의 가치를 따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습관은 우리에게 깊게 뿌리내리고 있어서, 우리는 항상 무엇이든 그 효용을 묻고 그에 따라 가치를 평가한다. 

하지만 노자에게 있어서 도를 따라 간다는 것은 필연이고 그 자체가 가치이다. 


하지만, 도를 따라간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

어떤 길이든 다 도이지 않겠는가, 어떻게 살아가든 우리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 다 도가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도를 따른다는 말에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이것이 어려운 점이다. 모두가 도일텐데, 어떤 도를 다른 도와 차별할 이유가 무엇인가.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 보자. 

나는 최선을 다해 나의 길을 찾는다. 

내 온 존재를 집중하고 최선을 다하면서, 내가 가는 길을 나의 숙명과 일치시켜 나가고자 노력한다. 

내 온 존재라고 하는 것 안에는 내가 가진 목적, 습관, 믿음, 무의식, 욕구, 추론, 직관이 모두 포함이 된다. 

나는 길을 찾고 길을 걸으며 그 과정에서 내 존재가 변화해 나가고, 그렇게 변화된 내가 다시 길을 찾아 걷는다. 

그렇게 길을 찾아 걷는 것이, 세상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존재로서의 나의 역할이자 의무의 전부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번민, 불만, 갈등, 망설임, 의혹 따위를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어찌되었든 나는 성공하는 것도, 실패하는 것도 아니며, 다만 나의 역할을 다해 나가는 것일 뿐이다. 


결론적으로, 노자는 충분한 해답을 주지 못한다. 

우리가 결정이나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하고 노자가 이야기해 줄 수 없는 나의 목적과 믿음과 욕구가 무엇인지 되돌아 보고 불확실성 앞에서 갈등을 해야 한다. 

노자가 줄 수 있는 것은 하나의 위안이다. 

당신이 최선을 다했다면,

최선을 다했다 다하지 못했다는 인식 역시 믿을 수 없는 것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집중하고 노력했다고 스스로를 정직하게 납득시킬 수 있다면, 

그러면 된 것이다.  

중요한 것은 당신이 길을 가고 있다는 것이지, 길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느냐가 아니다. 

당신의 온 존재가 길을 만들고, 그 길을 걷는 과정이 당신의 존재를 변화시킨다. 

그렇게, 걸어갈 수 있는 동안 걸어가면 된다. 


사고의 관점을 조금 바꾸어 보는 것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의 사고가 얼마나 목적이나 결과, 가치에 집착하는 경향을 갖고 있는지를 인식한다면, 길을 만들면서 걸어가는 도인의 이미지는 도움이 될 것이다. 

그것은 우리 생활에서 분명히 의식하지도 못하면서 끊임없이 울리는 BGM(배경음)을 바꾸는 일일 수도 있다. 

어쩌면, 그것은 당신의 존재와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는 일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