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말에서는 선하다는 것과 좋다라는 것은 좀 다른 의미를 갖는데, 영어에서 'good'이라는 단어가 양쪽 모두의 뜻으로 쓰인다. 
선하다는 말은 여러 의미를 가진다. 
남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것, 자기의 이익 못지 않게 다른 사람의 복지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뜻하기도 하고, 
사회에 통용되는 윤리적 기준을 잘 지킨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런데 약간 낯설 수도 있는 관점에서, 선하다는 것은 유능하다는 것이다. 

윤리적 관점에서의 선함은 어쩌면 다른 사람의 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자세를 갖고 있다는 것을 뜻할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다른 사람의 복지에 대해 갖는 영향력에는 그 사람의 선한 의도 뿐 아니라 유능함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의도는 선하지만 무능함과 게으름으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선한 것일까? 

이런 식의 사고를 밀고 나가면, 니체식으로 도덕을 지킨다는 건 약함의 표시이고 강함이야말로 존중받을 가치가 있는 선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능력있는 상사가 착한 상사보다 낫고, 유능한 지도자가 도덕적인 지도자보다 나으며, 착한 남자친구보다 능력있고 재미있는 남자친구보다 낫다. 

사실, 이런 이야기들에서는 가치, 선, 착함, 능력, 윤리, 좋음과 같은 개념들이 이리저리 섞여서 이야기되기 때문에 혼란스러워지기 쉽다. 
어떻게 보면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은 서로 다른 정의를 내리고 있을 뿐이다. 
우리가 어떤 사람을 평가할 때 도덕성, 선량함, 능력 등 여러 가지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능력이 곧 선이라고 말하기보다는, 나는 능력을 선보다 더 우선적인 가치로 생각한다 라는 쪽이 더 정확할 것이다. 
문제는 선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너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는 점에 있는 것 같다. 

착하다는 것은 흔히 다른 사람에게 쉽게 양보하고 자기 이익을 관철시키지 못하는 성격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선하다는 것은 착한 것과는 좀 뉘앙스가 다른 말이다. 
우선 도덕적 기준을 따르면 선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도덕적 기준이 사람마다 다르다면 선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도 다르다. 
구체적인 도덕적 기준은 다르더라도 자기의 충동이 아니라 윤리와 양심에 따르려는 의지를 가지는 것, 그것을 선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또는 자신의 충동과 이익보다 다른 사람의 복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관을 지닌 사람을 선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런데 이런 정의에도 어려운 점이 있다. 
예를 들어 군부독재시대에 고문에 종사한 사람의 예를 들어 보자. 
그는 간첩을 잡아내어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이 많은 사람을 이롭게 하는 일이라고 여기면서 그 일을 했을 수도 있다. 
그가 만약 고문하는 일에서 쾌락을 느꼈다면 악한 것이고, 불쾌함을 느끼면서도 참고 자신이 생각하는 대의를 위해 그 일을 했다면 선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가 정말 자기 소신으로 그렇게 믿은 것인지, 아니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합리화를 하면서 양심의 눈을 가린 것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당신이 하는 행동의 동기가 정말 선한 것인지 스스로 확신할 수 있는가?
예를 들어 자원봉사를 하고 어려운 사람을 위해 기부를 하는 것이 그 사람들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사회적 평판을 위한 것인지, 스스로의 만족감과 자긍심을 위한 것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사람이 가진 이기심과 양심의 정도는 서로 다 비슷한데 그것이 표현되는 방식이 다른 것이 아닐까? 

내 생각에 선하다는 것은 제약이 많이 따르는 개념이다. 
선한 사람과 선하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독교에서도 선한 사람이 구원을 받지 않고 믿음을 가진 사람, 하나님에게 선택을 받은 사람이 구원을 받는다고 한 것이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선'이라는 개념은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에 자기 자신이 선한지 그렇지 않은지는 알 수 없다. 
자기 자신의 궁극적인 동기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나는 상대방을 위한 순수한 마음이라고 생각하지만, 어쩌면 나 자신의 심리적 필요에 의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나는 선해지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선한 행동을 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내 동기가 이기적인 것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나는 어떤 행동은 하는 것이 옳고 어떤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옳다는 것을 알 때가 있다. 
그 행동의 영향이 자기 자신에게만 국한되어 보일 때라 해도 마찬가지다. 
그럴 때 옳다는 판단과 내 실제 행동이 일치되게 만드는 것, 그것이 내가 생각하는 선함의 의미이다. 
그 옳고 그름의 판단은 다른 사람과 다를 수도 있고,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합리화의 결과일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스스로 판단하는 옳음을 행동으로 옮기는 일을 꾸준하게 해 나갈 때 사람은 새로운 판단력과 전망을 갖게 될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선함이란, 일관성에 가까운 뜻이 된다. 

선하다는 말을 다른 사람에 적용할 때는 좀 다르다. 
우리는 선한 것과 좋은 것을 구분하지 않고 싶을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착한 몸매' 같은 용법에서 그런 감수성이 느껴진다. 
그렇지만, '좋음'이나 '훌륭함'과 다른 뜻을 가지는 '선함'의 영역이 있다. 
우리는 때때로 사심없이 남을 위하는 행동이나 그런 마음이 느껴질 때 일종의 감탄 같은 것을 느낀다. 
불쌍한 사람에 대한 동정심, 다른 사람의 복지에 대한 순수한 관심, 다른 사람의 행복을 기뻐하는 마음.. 
그런 감정을 스스로 느낄 때는 선하다는 평가를 할 수 없다. 
평가를 하는 순간 그 감정은 변질이 된다. 
(스스로가 선하다는 인식과 순수한 감정이 병존하는 환희의 시간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건 드물게 찾아오는 행운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서 그런 선함을 느낄 때, 또는 그런 감수성이 그 사람의 특질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음을 발견할 때, 
우리는 좋은 예술작품을 보고 느끼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선량한 사람에게서 느끼게 된다. 

요약하자면 이렇다. 
스스로는 선해지려고 하지 마라. 다만, 선한 행동을 하라.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서는 관대함을 갖고 선량함을 발견하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