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읽고 있는 책이 코드북인데, 공교롭게도 이 책에서 가장 재미있는 일화인 에니그마 깨뜨리기가 영화로 만들어졌다.
전쟁, 동성애, 암호, 비밀, 사람들 간의 소통, 남녀차별, 생각하는 기계, 환영받지 못하는 천재, 거짓말, 개인과 역사..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그것을 해독하는 일은 사람들이 서로 의미를 주고 받으면서 이해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과정과 닮았다.
암호 푸는 일에 매달리는 튜링은 역설적으로 사람들에게 자신을 이해시키거나 다른 사람들의 뜻을 이해하는 일에 서투르다.
명료하고 돌려 말하는 일이 없는 수학의 언어를 튜링은 천재적으로 다룰 수 있고 생각하는 기계까지 구상하지만, 사람들과 생각과 감정을 주고 받는 일에는 어린아이와도 같이 낮은 수준이다.
그렇지만 그는 괴물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과 좀 다른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 유별난 사람의 봉사 덕분에 1400만명의 목숨이 구해졌다고 영화는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는 그의 다름을 인정하지 않았던 사회 때문에 폐인이 되고 희생당한다.
사이먼 싱이 쓴 코드북이라는 책은 암호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다룬 책인데 그 중 한 장을 온전히 에니그마 이야기로 쓰고 있다.
튜링이 중요한 역할을 하긴 하지만 에니그마에는 그보다 더 많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에니그마는 원래 수학적으로 해독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에니그마는 타자기 비슷하게 생겼는데, 메시지를 송신하는 사람이 알파벳 글자를 누르면 다른 글자로 바꾸어 준다.
그런데 어떤 글자가 어떤 글자로 바뀔지는 기계 내부 동작에 의해 계속 달라진다.
예를 들어 똑같은 A를 쳐도 어떨 때는 C로, 어떨 때는 E로 대치된다.
그리고 에니그마 기계의 세팅에 따라 글자가 대치되는 방식이 달라진다.
에니그마의 위력은 가능한 세팅의 종류가 1경이라는 어마어마한 숫자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에니그마 기계를 갖고 있고 암호문이 있더라도 에니그마를 어떻게 세팅해 놓아야 하는지를 모른다면 소용이 없었다.
반면 세팅에 대한 정보 자체는 단순했다.
독일군끼리는 이 세팅에 대한 정보(key)를 공유했기 때문에 서로의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었다.
물론 이 key 값은 매일마다 달라졌다.
key만 보호하면, 암호화 알고리즘과 암호화된 메시지를 알더라도 해독할 수가 없게 만드는 것, 이것은 공인인증서 등에도 사용되는 일반적인 암호화의 요체이기도 하다.
해독이 불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던 에니그마의 암호화 방식을 깨뜨리는 단서를 발견한 것은 폴란드인들이었다.
그들은 영국이나 프랑스가 방심하고 있던 시절부터 독일의 위협을 절감하고 있었기 때문에 암호 해독법 발견에 몰두했다.
그들은 성공했지만 독일이 에니그마의 보안성을 강화하면서 무용지물이 된다.
하지만 그들은 독일의 침공을 2주 앞둔 시점에 자신들의 성과를 영국과 프랑스에 전달한다.
연합국의 승리는 상당 부분 폴란드인들에게 빚을 지고 있는 것이다.
영화를 보면 블레츨리 파크에서 일한 암호해독가가 몇 사람 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블레츨리 파크에서 실제로 일한 사람의 수는 200명 남짓으로 시작하여 7,000명까지 늘어났다.
튜링은 여러 팀 중 한 팀의 팀장이었다.
폴란드인들 덕분에 암호해독가들은 초기부터 성과를 낼 수 있었다.
독일이 영국을 공습하던 때도 이들 덕분에 영국은 독일 공군의 상황을 훤히 들여다 보면서 대응할 수 있었다.
튜링의 역할은 독일군이 자신들이 이용했던 에니그마의 약점을 알아채고 보완하는 경우에 대비하는 것이었다.
영화에서처럼 튜링은 크립이라고 불리우는 단서들, 즉 항상 같은 시간에 송신되는 일기예보에 날씨라는 단어가 들어있다거나, 어떤 독일군 병사가 항상 똑같은 암호key(애인 이름)를 사용한다거나 하는 단서들을 이용한다는 착안을 했다. (에니그마의 암호key는 매일마다 바뀌지만 독일군 전체가 공유하는 key와 메시지를 보낼 때마다 송신자가 임의로 정하는 key로 구성되었다.)
이 단서들을 이용한다는 아이디어 자체보다도, 이 단서들에 튜링이 고안한 수학적 방식을 적용해서 가능한 경우의 수를 크게 줄인 점이 튜링의 업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튜링은 경우의 수를 엄청난 비율로 줄여 놓은 다음, 그래도 여전히 많은 경우의 수를 자동으로 체크해나가는 기계를 고안했다.
사실 폴란드인들도 기계를 이용했기 때문에 기계를 이용한다는 자체가 중요한 아이디어는 아니었지만 튜링은 효과적으로 기계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발견하고 적용한 것이다.
튜링이 이런 아이디어의 돌파구를 만들어내고 이를 구현한 기계가 처음 작동하기 시작한 것은 1940년 3월이었다.
그렇지만 생각처럼 기계의 속도가 빠르지 않아 기계 성능을 개선해야 했다.
그러는 와중에 독일군이 우려했던대로 폴란드인이 이용했던 암호의 약점을 보완한다.
이로 인해 몇 달 간 정보의 암흑기가 시작되었으나 성능이 개선된 기계가 도착하면서 해독 작업이 다시 제 궤도에 오른다.
즉, 연합군은 전쟁 중간의 몇 달을 제외하고는 전쟁 초기부터 어느 정도 암호 해독에 성공하고 있었다.
다만, 독일군 중에서도 해군의 암호는 특히 어려웠기 때문에 해독이 늦어졌다.
독일 해군의 암호를 풀기 전까지 연합군은 유튜브에 의해 수많은 수송선과 전투선이 침몰되는 피해를 겪어야 했지만 암호 해독과 더불어 바다에서의 전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해독에 성공한 후에도 영화에서처럼 에니그마 암호가 깨졌다는 것을 숨기기 위해 여러 방법을 사용해야 했다.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지 못하고 아군의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 고통스러운 작업이었겠지만 아마 튜링의 팀이 아니라 작전을 하는 군대의 소관이었을 것이다.
암호해독가들은 크립을 찾아내고 이용하는 등 암호를 해독하는 일만으로도 충분히 바빴을 것이다.
책에서 묘사되는 튜링의 모습은 영화와는 좀 다르다.
튜링의 한 동료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앨런 튜링이 천재라는 점은 명백했다. 하지만, 그는 가까이하기 쉬운, 친근감 가는 천재였다. 그는 항상 자신의 아이디어를 남에게 설명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아까워하지 않았다...."
처칠에게 투서를 한 것은 튜링 혼자 한 일이 아니었고 팀이 함께 한 일이었다.
또한 암호해독에 성공하기 전에 기계에 대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암호해독이 이미 제 궤도에 올랐을 때 해독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람을 더 뽑아달라는 요청이었다.
영화가 실화의 많은 부분을 따라가고 있긴 하지만, 주제를 더 강조하기 위해 상당한 윤색을 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콘텐츠와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디스펜서블, 지도자의 역할 (2) | 2015.04.06 |
---|---|
K팝스타와 삼시세끼, 두 가지 다른 세계 (0) | 2015.03.03 |
30년전쟁 (0) | 2015.01.19 |
오늘의 세계적 가치 (0) | 2013.11.16 |
미야자키 하야오 예술의 전당 전시회 후기 (0) | 201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