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원작소설과 비교를 해 가면서 드라마 리뷰를 하고 있습니다. 드라마를 보신 분이라는 전제 하에 쓴 글이므로, 당연히 드라마를 안 보신 분께는 스포가 되겠습니다.

1.

전에 말했지만, 원작에서 티리온은 아직 대너리스를 만나지 않았다. 두 사람이 만나긴 만날 것 같은데, 만나서 어떤 대화를 나눌지 기대하면서 4년을 기다리고 있는 참이다. 

그 기대가 실현되는 걸 드라마에서 미리 볼 수 있었던 건 좋았다. 

조라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조언은 합당했던 것 같다. 헌신하는 자에게 자비를 베풀되, 배신했던 사람을 곁에 두어서는 안된다는. 

2. 

세르세이의 혐의 중에는 근친상간이 들어 있지만, 그 혐의가 사실이라면 토멘 왕이 적법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하이셉톤이 왕가를 상대로 전면전이라도 벌이지 않고는 그런 혐의로 세르세이를 심문할 수 없을 것이다. 

전에 말했듯이 원작 속에서 세르세이의 혐의는 전임 하이셉톤에 대한 암살 사주와 마가에리 왕비를 상대로 한 위증 교사이다. 이 혐의에 대한 책임은 세르세이 개인의 몫이고 왕가나 라니스터 가문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런 부분은 원작 쪽이 좀 더 자연스러운 것 같다. 

원작 속에서 세르세이는 어린 토멘 왕의 섭정으로서 독단적인 통치 행위를 하며 왕국과 자기 가문에 많은 해를 끼친다. 왕국을 통치하는 소위원회도 자질이 안되는 사람들을 불러모아 자리를 채우는데, 세르세이는 만만하고 자기 말을 잘 들을 만한 사람들을 중요한 지위에 두는 것이 자기 권력에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퀴번과 면회를 하면서 듣게 되듯, 이들은 위기가 닥치자 자기 살 길에만 골몰하고 세르세이에게 도움이 되어 주는 사람은 퀴번 외에 아무도 없다. 

3.

아리아가 어두침침한 신전을 벗어나 손수레를 끌며 브라보스의 거리를 다니는 모습은 좋으나, 외모가.... 예쁜 건지, 이상한 건지.  

아리아에게 처음으로 살인 임무를 맡기면서 친절한 노인(자켄의 얼굴을 한)은 대상자가 왜 죽어야 하는지 연유를 설명해 준다. 

살인대상자인 노인은 일종의 해상보험업자이다. 배가 침몰하면 그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하는 일이다. 자켄은 이 업자가 지급해야 할 돈을 유가족에게 지급하지 않았고 그 때문에 살인의뢰가 들어왔다고 말한다.  

있을 법한 이야기지만, 원작에서 아리아는 상대를 죽여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 듣지 못한다. 그냥 임무이니까 수행해야 할 뿐이다. 그것이 '발라 모굴리스, 발라 도하에리스(모든 사람은 죽어야 한다, 모든 사람은 섬겨야 한다)'라는 문구에 더 어울리는 일일 것 같다. 

물론 '얼굴없는 자들'에는 살인의뢰를 받아들일 것인지 여부와 그 댓가에 대해 결정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아마도 사람의 생사를 결정할 수 있는 그 역할은 충분한 지혜와 경험과 인격을 갖추었다고 인정된 사람들에게 주어질 것이며, 한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논의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건 상상이지만, 책에서는 다면신을 믿는 집단의 장로들이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이 모이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자신이 가져왔던 정체성을 모두 부정할 정도로 헌신을 요구하는 종교집단이, 마치 임무의 정당성을 납득시켜 주려는 듯이 설명을 한다는 것은 어색하게 보인다. 

4. 

올리는 소설 속에는 나오지 않는 등장인물이다. 

샘은 올리 앞에서,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 일이라면 남들이 반대해도 실행에 옮겨야 할 때가 있다면서 존을 변호해 준다. 

하지만, 올리의 관점에서는 자신의 부모를 죽인 야인들에게 어떻게든 복수를 하는 일이 옳은 일이 아닐까? 

전 시즌에서는 이그리트를 죽였던 이 소년이, 뭔가 일을 저지르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든다. 

5. 

몇 가지 흠을 잡긴 했지만, 좀 마음에 들지 않게 돌아가던 시즌5에서 가장 괜찮았던 한 화가 아니었나 싶다. 

시즌마다 롱테이크의 공들인 전투 신이 하나씩 들어가는 것 같은데, 하드홈 전투 장면은 잘 연출이 된 것 같다. 

원작에선 백귀들과 전면전을 벌이는 장면은 아직 묘사되지 않고 있다. 

귀족적으로 차려 입은 백귀들의 카리스마나, 자이언트의 파워넘치는 활극이나, 좀비 영화를 연상시키는 전투 씬이나, 나쁘지 않았다.

반응형
주로 원작소설과 비교를 해 가면서 드라마 리뷰를 하고 있습니다. 드라마를 보신 분이라는 전제 하에 쓴 글이므로, 당연히 드라마를 안 보신 분께는 스포가 되겠습니다.

1.
아에몬이 숨졌다. 100세가 넘은 노인임에도 불구하고 죽음의 장면은 슬프다. 
에그는 조지RR마틴의 또다른 소설의 주인공이다. 아에몬의 사랑하는 동생이었던 그는 이미 오래 전에 죽었다. 
에그, 내가 늙는 꿈을 꿨어, 하고 말하는 장면은 마음을 찌른다. 

원작에서 아에몬이 존에게 남기는 말은 다음과 같다.  

“Allow me to give my lord one last piece of counsel”, the old man had said, “the same council that I once gave my brother when we parted for the last time. He was three-and-thirty when the Great Council chose him to mount the Iron Throne. A man grown with sons of his own, yet in some ways still a boy. Egg had an innocence to him, a sweetness we all loved. Kill the boy within you, I told him the day I took the ship for the Wall. It takes a man to rule. An Aegon, not an Egg. Kill the boy and let the man be born.””The old man felt Jon’s face.
“You are half the age that Egg was, and your own burden is a crueler one, I fear. You will have little joy of your command, but I think you have the strength in you to do the things that must be done. Kill the boy, Jon Snow. Winter is almost upon us. Kill the boy and let the man be born.

"나의 영주에게 마지막으로 조언을 하도록 허가해 주시게나," 노인은 말했다. "내 남동생과 마지막으로 보고 헤어지던 때 했던 조언과 같은 내용이라네. 대위원회가 그를 철 왕좌에 오르도록 선출했을 때 그의 나이는 서른셋이었어. 아들들을 두기까지 했지만 어떤 의미에선 여전히 소년이었지. 에그는 순진함과, 우리가 모두 사랑했던 상냥함을 갖고 있었다네. 나는 장벽으로 가는 배를 탔던 그날 그에게 말했어. 네 안의 소년을 죽여라. 통치하는 데는 남자가 필요하다. 에그가 아니라 아에곤이 필요하다. 소년을 죽이고 남자가 되어라." 노인은 존의 얼굴을 만졌다. "자네는 에그의 그 때 나이의 반 밖에 되지 않지만 더 잔인한 짐을 지고 있어. 아마 지휘하는 일에서 즐거움이란 거의 얻지 못할 것이야. 하지만 자네한테는 해야 하는 일을 해 내는 힘이 있다고 난 생각하네. 존 스노우, 소년을 죽이게. 겨울이 거의 다 왔어.  소년을 죽이고 남자가 되게."

2. 
스타니스는 존의 조언에 따라 산악 부족들의 병사를 합류시키고 해안가의 성 딥우드 모트를 공략하여 보급을 얻는다. 
딥우드 모트는 테온의 여동생 아샤(드라마에서는 야라)에 의해 점령되어 있었는데, 기습을 통하여 아샤와 그 부하들을 사로잡은 다음 윈터펠로 향한다. 
하지만 눈 때문에 길이 막혀 꼼짝 못하게 되는 것은 드라마에서와 같다. 
원작에서는 멜리산드레와 스타니스의 부인, 딸은 모두 장벽에 남아 있다. 
멜리산드레가 스타니스의 딸을 제물로 바치자고 제안하는 장면도 나오지 않는다. 

3. 
대너리스가 처한 상황은 원작에서가 더 심각하다. 
융카이는 대너리스의 통치에서 벗어나 아스타포르를 공략한 다음 머린을 포위한다. 
융카이 뿐 아니라 대너리스의 혁명을 제어하려는 여러 세력이 여기에 가담하는데, 심지어 콰스까지 전함을 보낸다. 
노예시장은 머린을 포위한 융카이 군대가 점령하고 있는 지역 안에서 열린다.
원작에서 노예시장에 서게 되는 것은 티리온과 조라 외에 페니라는 여자 난쟁이까지 셋이다. 
티리온은 볼란티스에서 만나 같이 항해를 한 페니에게서 돼지와 큰 개를 타고 기사들의 마상결투를 흉내내는 쇼를 배운 상태이다.
티리온과 페니가 먼저 팔리지만, 티리온은 새 주인에게 조라도 자기들 쇼의 일원이라고 말하여 함께 팔릴 수 있게 한다. 
여자 난쟁이 페니가 숙녀, 티리온은 숙녀를 구하는 기사, 조라는 곰의 역할이라는 것이다. 
조라는 하지만 대너리스가 결혼했다는 말을 듣고는 멘붕 상태라, 곰의 역할은 커녕 매일 얻어 맞고 쇠우리에 갇혀 지낸다. 
티리온과 대너리스의 만남은 원작의 독자들이 최고로 기대하고 있는 이벤트 중 하나지만, 원작 상에서는 둘이 아직 만나지 못했다. 
즉, 드라마가 원작의 진도를 추월한 셈이다. 
원래는 원작의 4,5권 부분이 시즌5에서 6, 어쩌면 7까지 커버할 것으로 생각했는데, 의외로 진도가 빨리 나가 한 시즌 동안에 두 권 분량을 소화해 버리고 있다. 

4. 
브론은 노래를 잘하는구나. 
도란이 영주의 조카들을 브론과 이웃한 감옥에 가둬두었다는 것은 좀 이상하다. 
하지만 해독제로 브론의 목숨도 구했고, 예쁜 아가씨의 살벌한 매력도 보았으니 봐 주도록 하자.

5. 
원작에서 세르세이가 붙잡히는 건, 하이스패로우가 위증한 근위기사를 매질하여 세르세이가 사주한 것과 전임 하이셉톤을 세르세이가 암살하도록 시킨 것까지 알아냈기 때문이다. 
란셀은 죄책감에 아직 괴로와하면서 킹스랜딩을 떠나 있는 상태이다. 
만약 그가 자백을 했다면 왕을 해친 죄로 벌을 받아야 했을 것이다. 
하이셉톤은 죄를 용서할 권한은 있지만 세속의 형벌을 면하게 할 권한까지는 없기 때문이다. 
드라마에서의 하이스패로우가 좀 더 존재감이 있긴 하다. 
올레나를 상대하는 모습은 마치 혁명가처럼 보였다.


반응형

주로 원작소설과 비교를 해 가면서 드라마 리뷰를 하고 있습니다. 드라마를 보신 분이라는 전제 하에 쓴 글이므로, 당연히 드라마를 안 보신 분께는 스포가 되겠습니다.


1. 
아리아의 선배 역할을 하는 아가씨는 waif, 집없는 아이라고 불리운다. 
그녀가 이야기하는 자신의 이력은 원작과 드라마가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계모가 웨이프(waif)를 독살하려 한 것을 알고 얼굴 없는 자들에게 의뢰를 한 것은 그녀의 아버지였다. 
죽음의 댓가는 그의 전 재산의 삼분지 이와 자신의 딸인 웨이프였다. 
그 이후 웨이프는 흑과 백의 집에서 머무른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거짓말 게임 중에 이야기된 내용이고 웨이프는 아리아에게 자신의 이야기 중 어떤 부분이 거짓말인지 맞춰 보라고 한다. 
얼굴 없는 자들의 기술 중 하나는 표정이나 몸짓 등 미묘한 단서를 갖고 상대방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차리는 것이다. 
그러니 아리아는 이 기술에 이미 통달해 있는 친절한 노인(드라마에서는 자켄 얼굴을 한)에게 거짓말을 할 수가 없다. 
친절한 노인이 네가 누구냐고 물을 때마다 아리아는 no one 이라고 대답하지만, 노인은 아리아가 아직 가문과 자신의 이름을 버리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드라마에서는 아리아라고 대답하고 얻어 맞는데, 소설에서는 그와 반대다. 거짓말게임은 거짓말을 잡는 게임이지 원하는 답변을 얻어내는 게임이 아니다.)
소설 속에서 아리아의 생활은 좀 더 역동적이다. 
친절한 노인은 아리아를 평범한 생선 장수의 집에 보내 지내게 하면서 브라보스의 말도 배우고 도시에서 보고 들은 일들을 와서 보고하게 한다. 
아리아는 생선들이 가득 찬 작은 수레를 밀고 다니며 항구에서 장사를 하고 남자들과 드잡이도 한다. 
생선 장수의 집에는 아리아 또래의 어린 소녀들도 있어서 자매처럼 지낸다. 
아리아가 주인공인 챕터에는 수로에 사는 고양이라는 제목이 붙기도 한다. 
이런 장면이 나오는 건 원작의 4권이고, 4권의 제목은 까마귀들의 잔치, feast of crows이다. 
까마귀들에게 벌어진 잔치의 시간은 살아남은 자들이 수습을 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3권에서 아리아는 부모형제를 다 잃고 뻥 뚫린 가슴을 안고 평생 뻥 뚫린 가슴을 지니고 살아온 산도르 옆을 따라 다니며 황량한 웨스테로스 대륙을 떠돌았다. 
티리온이 로이네 강을 따라 내려가면서 회복이 되듯이, 브라보스의 뒷골목과 항구에서 아리아는 회복되어 간다. 
생선 수레를 밀고 항구로 가면서 그녀는 좋아하는 경치를 보기 위해 길을 돌아가기도 한다. 
어린 소녀를 상대로 짖궂은 농담을 던지는 브라보스의 무뢰한 bravo 들은 험한 길을 지나온 아리아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 
만약 스타크 가문에게 닥친 불행이 아니었다면 아리아는 얌전한 숙녀가 되길 바라는 어머니와 언니에게 반항하는 말썽꾸러기 딸로 지내다가, 
어떤 영주의 며느리가 되어 레이디의 삶을 살았을 것이다. 
어떤 삶이 아리아에게 더 행복한 삶이었을지는 누구도 평가할 수 없겠지만, 아주 다른 삶이라는 건 분영하다. 

캣(고양이)은 홍합, 새조개, 대합과 같은 브라보스 단어들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넝마주이의 항구'에서 자신이 파는 물건들의 이름을 외칠 때는 무역어를 사용했다. 이 언어는 부두와 선창과 선원들의 주점에서 사용되었는데 열 개가 넘는 언어들로부터 짜맞춘 단어와 문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대개는 욕설을 의미하는 손동작과 몸짓이 따라붙곤 했는데 캣은 이것을 특히 좋아했다. 누구든 그녀를 성가시게 하는 사내는 엿을 먹이는 손동작을 보거나 나귀의 거시기니 낙타의 음부에 자신을 비유하는 욕설을 들어야 했다. "난 낙타를 본 적이 한 번도 없지만, 낙타의 음부는 냄새로 알 수 있지." 그녀는 그들에게 이렇게 말하곤 했다.

2. 
조라는 티리온을 통해 아버지의 죽음을 알게 되지만, 소설에서 티리온은 감옥에 갇혀 있다가 바로 탈출하느라 장벽에서 벌어진 일들을 몰랐는지 그런 장면은 나오지 않는다. 
조라의 아버지 조르 모르몬트는 장벽 북쪽에서 죽으면서 곁에 있던 샘웰에게 아들을 용서한다고, 돌아와서 검은 망토를 입으라고 전해달라고 유언을 남긴다. 조라의 처지는 아버지의 마음에 계속 짐으로 남아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조라의 마음 속에는 대너리스 뿐이다. 
매음굴에서 티리온과 마주칠 때도 조라는 대너리스를 닮은 은발의 창녀를 상대하는 중이었다.
돌아간다고 해서 대너리스의 사랑을 받게 될 희망도 없건만, 대책 없는 순정남이다. (플라토닉 러브는 아니지만 순정은 순정이다)

3. 
원작에서 로라스 티렐의 동성애는 나오지 않는다. 
하이스패로우가 더 매력적인 인물로 그려질 수 있었을 터인데 동성애 이야기를 끌어들이는 건 아쉽다. 
그리고 오빠를 구하기 위한 위증을 이유로 마아저리를 잡아들이는 것도 개연성이 약해 보인다. 
반면 드라마에서 세르세이는 원작에서보다 우아하게 표현되는 편이다. 
원작에서 그녀는 킹스가드 중 한 사람을 포섭하여 마아저리를 유혹하게 한다. 
하지만 기대와 다르게 마아저리가 걸려들지 않자 아예 위증을 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마아저리를 따라다니는 음유시인을 잡아 퀴번을 시켜 고문한다. 
그녀는 위증과 고문을 통해 마아저리가 토멘 왕을 배신하고 간음을 저질렀다는 혐의를 만들어 옭아맨다. 
이 정도는 되야 좀 심각한 혐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을 만들기 전에 세르세이는 사전작업으로 마아저리의 오빠와 아버지가 수도를 비우도록 만든다.
시즌5에선 전쟁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지 않는데, 강철군도, 스타니스, 롭의 잔존세력 등이 저항을 계속 하고 있는 상황이다. 
강철군도는 북부를 떠나 티렐 가문의 영지인 남부를 위협하고 있다. (여기엔 여러 복잡한 사정이 있지만 드라마에선 생략할 모양이다)
스타니스는 주력군을 이끌고 장벽으로 갔지만 드래곤스톤 섬과 스톰즈엔드 성을 아직 보유하고 있다. 
캐틀린의 친정인 툴리 가문의 영지에는 항복하지 않은 성들이 남아 있다. 
이런 상황에서 로라스 티렐은 위협받는 고향으로 빨리 돌아가기 위해서 세르세이의 요구에 따라 드래곤스톤을 빨리 점령하려 서두르다가 큰 부상을 입는다. 
아버지 메이스 티렐은 스톰즈엔드를 공략하다 딸의 소식을 듣고 수도로 귀환길에 오른다. 

4.
한편 원작에서 제이미는 라니스터의 군대를 지휘하여 리버룬 지역을 평정하는 중이다. 
그는 캐틀린에게서 풀려나면서 했던 서약을 지키기 위해 무력이 아니라 협상과 위협을 통해 반란을 진압하려 노력한다. 
제이미의 재치와 판단력, 그리고 터프함이 잘 통해서 주군을 잃은 리버룬의 성들은 토멘 왕의 지배를 받아들인다. 
돈에서 벌어지는 일은 도란 마르텔의 딸이자 상속자인 아리안느가 주인공이다. 
그녀는 미르셀라를 여왕으로 내세우고 반란을 일으키려다가 도란의 호위무사인 아레아 호타에 의해 제지된다. 
샌드 스네이크들은 오버린의 죽음이 알려지고 돈의 여론이 들끓자 도란이 미리 잡아 가둬둔 상태이다. 
원작과 다르긴 하지만, 브론이 매력적이다 보니 돈에 와서 벌이는 모험담도 나쁘지는 않은 것 같다. 
다만, 제이미는 턱수염을 깍으면서 카리스마도 함께 깍여나간 듯 하다. 

5. 
산사와 브리엔느에 대해선 별로 이야기할 것이 없다. 
윈터펠에서의 사건들이 마무리되면 원작 버전을 소개해 보려고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